악성코드
악성코드 소유형
오브의 별
2024. 6. 3. 20:22
반응형
<목적에 따른 분류>
- 악성코드는 결국 프로그래밍으로 제작하기에 하나의 악성코드에 다양한 기능이 구현될 수 있음
- 악성코드 분석가의 관점에 따라 동일한 악성코드가 분류되는 소유형이 상이할 수 있음
- 협박
- Ransomware
- 정상 기능을 제한한 후 협박
- 하이브리드 암호 시스템의 발전과 블록체인, 코인 발전으로 급부상
- Ransomware
- 도청 & 감시
- Spyware
- 도청과 감시에 특화된 소프트웨어
- Fedware - 연방 정부에서 제작한 Spyware
- Keylogger
- 키보드 입력 정보 수집
- Spyware
- 접근 & 강탈
- RAT
- 원격 접속 및 제어
- Backdoor
- 사용자 몰래 접근
- Rookits - Backdoor에 은닉 기능을 강화한 악성코드
- Banker
- 금융 거래를 가로채거나 금융 정보를 수집
- ex) POS Malware, Phaming Malware
- Game Thief
- 게임 로그인 계정 수집
- RAT
- 다운로드
- Dropper
- 악성코드 내에 악성코드가 포함되어 인터넷 없이 새로운 악성코드를 실행
- Downloader
- 악성코드가 인터넷을 통해 새로운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하여 실행
- Dropper
- 기타
- Adware
- 광고를 과하게 함
- Bot
- 특정 기능 자동 수행
- ex) DDoS Bot
- Spammer
- 불필요한 메시지 전송
- Adware
악성코드 유형과 유입경로(이메일과 웹을 중심으로) 강의 공부 후 내용 정리한 것이니 참고바랍니다.
[지금 무료] 악성코드 유형과 유입경로(이메일과 웹을 중심으로) | 한국정보보호교육센터 - 인프
한국정보보호교육센터 | 본 교육을 통해 악성코드 유형에 따른 특징을 파악하고, 다양한 악성코드 유입 경로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다, 주제 소개 📝 최신 주요 악성코드에 대한 이해를 통해 악
www.inflearn.com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