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C
- Volatility
- cmd
- 설치
- c언어
- 오늘의 보안동향
- DEFCON
- ctf
- 리버싱 핵심원리
- 코딩
- Memory Forensics
- sql
- Defcon DFIR CTF 2019
- codeup
- defcon.mem
- C language
- 오늘의 보안
- 보안동향
- 랜섬웨어
- Code Up
- 리버싱
- 다운로드
- 코드업
- 보안
- SQLD
- C 프로그래밍
- 악성코드
- 멀웨어
- 오늘의 영어
- 정보보안기사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ESTABLISHED (1)
오브의 빛나는 별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2qYHT/btrLtMwGYA9/rUFnbIHADcDxidtwxgZak0/img.png)
6. intel 악성 프로세스로 인해 연결된 세션에서 공격자의 ip를 구하는 문제입니다. netscan: 시스템명, 운영체제명, 버전명 등 네트워크 정보 확인. 네트워크 스캐너 중 설치없이 간단하게 사용 가능. 명령어는 vol.exe -f 파일이름 netscan --profile=프로파일이름 형식으로 쓰면 됩니다. vol.exe -f defcon.mem netscan --profile=Win7SP1x64 > netscan.txt 1) cmd 열기 2) netsacn 이용. 저는 5번 문제에서 저장한 txt 파일을 확인했습니다. 명령어 뒤 '> netscan.txt'는 빼셔도 됩니다. 4번 문제에서 찾은 UWkpjFjDzM.exe의 ip 주소를 보면 10.0.0.106 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또한 문제..
Defcon DFIR CTF 2019
2022. 9. 8. 17:35